React 시작
React 랜더링 해보기
HTML 뼈대 만들기
index.html
<html>
<head>
<title>Heo의 블로그</title>
</head>
<body>
<h1>Heo의 블로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!</h1>
</body>
</html>
먼저 뼈대인 HTML의 틀을 간단하게 만들었다. 위 그림을 보면 title 태그와 h1 태그의 내용이 올바르게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CSS 적용
index.html
<html>
<head>
<title>Heo의 블로그</title>
<link rel="stylesheet" href="styles.css">
</head>
<body>
<h1>Heo의 블로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!</h1>
</body>
</html>
링크 태그는 현재 html 파일과 외부 리소스 사이의 관계를 정의할 때 사용한다.
css 파일을 불러오거나 웹 브라우저의 탭에 나오는 아이콘인 favicon
같은 것을 넣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된다.
참고로 index.html 파일과 styles.css 파일이 동일한 디렉토리에 위치해야 한다.
styles.css
h1 {
color: green;
font-style: italic;
}
위 그림을 보면 h1의 텍스트 글꼴과 색이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React 랜더링
먼저 DOM Contianer를 등록해준다.
index.html
<html>
<head>
<title>Heo의 블로그</title>
<link rel="stylesheet" href="styles.css">
</head>
<body>
<h1>Heo의 블로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!</h1>
<div id="root"></div> <!--DOM Contianer-->
</body>
</html>
그리고 리액트를 랜더링 하기위해 아래 코드를 작성한다.
index.html
<html>
<head>
<title>Heo의 블로그</title>
<link rel="stylesheet" href="styles.css">
</head>
<body>
<h1>Heo의 블로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!</h1>
<div id="root"></div>
<!-- 리액트 가져오기-->
<script src="https://unpkg.com/react@17/umd/react.development.js" crossorigin></script>
<script src="https://unpkg.com/react-dom@17/umd/react-dom.development.js" crossorigin></script>
<!-- 리액트 컴포넌트 가져오기-->
<script src="MyButton.js"></script>
</body>
</html>
컴포넌트에서 정의한 이름과 동일하게 MyButton.js을 만들고, 리액트를 적용했다.
MyButton.js
function MyButton(props) {
const [isClicked, setIsClicked] = React.useState(false);
return React.createElement(
'button',
{ onClick: () => setIsClicked(true) },
isClicked ? 'Clicked!' : 'Click here!'
)
}
const domContainer = document.querySelector('#root');
ReactDOM.render(React.createElement(MyButton), domContainer);
클릭을 누르면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, 이것은 React 컴포넌트의 state가 변경되었기 때문이다.
위 방식으로 React를 랜더링을 했지만, 매번 개발할 때 해당 방식으로 하면 번거롭다.
그래서 이 모든 과정이 필요 없이 곧바로 React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Create React 앱이라는 패키지를 알아보겠다.
Create React App
앞에서 한 방식은 기존에 있는 웹 사이트에 React를 적용하는 방법이였다.
하지만 새로운 웹 사이트를 만들 때에는 굳이 그렇게 할 필요가 없다. 처음부터 React가 적용되어 있는 상태로 개발을 진행하면 되기 때문이다.
그래서 React로 웹 사이트를 개발할 때에는 주로 Create React App을 사용한다.
Create React App은 React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모든 설정이 되어 있는 상태로 프로젝트를 생성해주는 도구이다. 이름이 길어서 앞 글자를 따서 CRA라고 부르기도 한다.
Create React App 실행
터미널에 아래와 같이 입력해주면 된다.
create-react-app 나의 프로젝트
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설치되는 것을 볼 수 있다.
프로젝트 생성이 완료되면 아래 화면에 보이는 것처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할 수 있는 명령어를 안내해준다.
cd
= 경로 변경npm start
= 애플리케이션 실행
내 프로젝트로 이동 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이 리엑트가 localhost 3000번으로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.
이러면 현재 리액트 애플리케이션이 로컬 개발 환경에서 실행된 것이다.
참고 자료
Last updated